미국의 비즈니스 전문매체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문직 종사자 43%는 챗GPT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챗GPT는 문서 작성ㆍ검토ㆍ요약부터 코딩테스트까지 다양한 수준의 업무 영역에서 높은 활용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챗GPT는 우수한 입사지원자를 찾고자 하는 채용담당자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직무기술서를 작성하거나, 서류를 심사하거나, 면접에서 최적의 지원자를 필터링하기 위해 유용한 질문을 작성하는 등 채용의 각 단계에서 챗GPT를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러닝크루 블로그에서 <챗GPT를 채용에 활용하는 5가지 방법>을 살펴보자. 이를 통해 현업에서 어떻게 챗GPT를 활용할 수 있는지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 26일, ‘2022년 기업 규모 및 업종별 임금 인상 특징 분석’을 발표했습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펜데믹 기간(2020~2022년) 동안 상용 근로자의 임금은 평균적으로 10.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용 근로자는 고용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임금 근로자입니다. 임금이 가장 많이 오른 업종은 금융ㆍ보험업입니다. 2019년 7419만원에서 2022년 8713만원으로 17.5% 올랐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늘어난 가계대출로 은행과 금융사의 이자 수익이 늘어난 반면 고객의 외부 활동이 줄면서 손해율이 감소함에 따라 직원 임금이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면 대면 수업이 대폭 감소했던 교육서비스업은 2022년 4272만원으로 2019년 4432만원에서 3.6% 감소했습니다. 숙박,음식점업은 2019년 2688만원에서 2022년 2835만원으로 147만원(5.5%) 증가했지만, 교육서비스업 다음으로 낮은 임금 인상률을 보였습니다.
종합 비즈니스 플랫폼 리멤버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상장기업의 3년차 이내 신입사원 10명 중 8명은 퇴사와 이직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설문에 참여한 사원급 재직자 1000명은 “이직 또는 퇴사 욕구가 생겼던 순간은?”이라는 질문에 “개인 커리어의 성장이 느껴지지 않을 때(25.1%)”를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상대적으로 나의 급여가 낮다고 느껴질 때(18.7%)”, “회사의 성장 가능성이 보이지 않을 때(13.0%)”가 다음 순으로 많았습니다. 또한 직장 내 “꼰대”에 대한 설문 결과, 꼰대는 연령대와 무관하며 35세 미만부터 55세 이상까지 고루 퍼져있으며 “답을 정해놓은 채 개인 의견을 존중해 주지 않을 때(37.1%)” 상대방을 꼰대라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