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을 변화시키기 위해 리더에게 필요한 변화
2022, 리더는 달라져야 한다 2021년 대부분의 조직의 리더들의 지상 과제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변화에 지혜롭게 대응하는 것이었다. 전세계적인 공급망 위기를 헤쳐나가고, 재택 근무중인 구성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거나 구성원들을 사무실로 안전하게 복귀시키는 일들이 2021년의 리더에게는 가장 큰 미션이었다. 하지만 이제 재택근무 관리나 사무실 복귀 지원에 대한 논의는 다소 식상한 주제가 되었다. 이제 리더들에게는 새로운 과제가 주어졌다. 변화한 환경에서 한 발짝 더 도약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리더들이 2022년에 조직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경영 인사이트, 그리고 더 많은 콘텐츠를 카드뉴스로 1분만에 보기 (클릭) 이번주의 HR 핫토픽 *밑줄 친 부분을 클릭하면, 관련 자료를 읽어볼 수 있어요. 2022년 HR은 여기 주목하세요📋 새해부터는 최저임금이 시간당 9160원으로 인상됩니다. 일급으로는 8시간 기준 7만3280원, 주40시간 근무 기준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 환산액은 191만4440원입니다. 또한, 플랫폼 기반 노동자에게도 고용보험이 적용돼 실업급여와 출산전후 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이들을 위한 고용보험료 지원이 신설됩니다. 관공서 공휴일과 그 대체공휴일은 민간기업에서는 꼭 쉬어야 하는 날은 아니었는데요, 2020년부터 법정 유급휴일을 인정하는 범위가 점차 확장되어 이제 5인 이상 30인 미만 기업에도 해당이 됩니다. 60세 이상의 근로자 수가 과거 평균 3년보다 증가한 기업에 지원하는 ‘고령자 고용지원금’과 장애인 고용의무가 없는 사업주가 장애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한 경우 지급하는 ‘장애인 신규고용장려금’도 생겼습니다. 중소기업이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유지 시 인건비를 지원하는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사업'도 시행됩니다. 또한 2022년부터 생후 12개월 내 자녀에 대해 부모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 부모 각각에 3개월간 육아휴직급여를 통상임금 범위내에서 최대 월 300만원까지 지원하는 ‘3+3 부모육아휴직제’도 시행되어 일과 가정의 양립을 돕게 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기재부의 ‘2022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책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여러분’ 짤을 가지고 있다면🙋♀️ 신년을 맞아 새로운 경력개발 다짐을 하신 분들도 많을 텐데요. 사람인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77.2%의 직장인이 이직 경험을 가지고 있고, 주된 원인으로는 ‘연봉’과 ‘낮은 수준의 근무 환경’을 꼽았습니다. ‘평생 직장’이 옛말이 된 지금이지만, 코로나19 이후로 퇴사와 이직은 훨씬 더 활발해졌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3분기의 자발적 이직자은 약 87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가 늘었고, 2분기에는 17.7%가 증가했는데, IT업종의 급성장과 급격한 디지털 전환 등으로 주요 스타트업 등 유망 직종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 비자발적 이직도 증가했습니다. 대면 서비스 업종이 크게 위축되고 배달, 물류 업종의 수요는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한편 미국의 노동 시장은 최근 ‘대사직(The Great Resignation)’ 사태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한 달 동안만 무로 440만명이 자발적으로 사직했고, 이와 같이 팬데믹 이후 자발적으로 사직한 사람의 수는 그 이전에 비해 두 배에 달합니다. 재택근무, 워케이션 등 새로운 근무형태의 이점을 경험한 사람이 늘어나고,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유망 직종, 구인 수요가 많은 직종의 지형도가 크게 바뀐 점도 한몫합니다. 구직 시장에 나온 유망한 인재들을 끌어올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제페토 디자이너, ‘진짜’ 직업이 되다👾 메타버스는 현실의 모방이나 일시적인 대체재, 내지는 그저 ‘놀이’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메타버스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커리어를 만들어나가는 무대가 되었습니다. ‘모니카 퀸’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모니카 루이즈는 메타버스 서비스 ‘제페토’에서 의상 디자이너 활동으로 ‘억대 연봉’을 벌고 있습니다. 게더타운 등을 활용하여 가상 오피스나 행사장, 강의장 등을 지어 주는 ‘메타버스 건축가’가 새로운 비즈니스로 떠오르기도 합니다. 메타버스 속에서 버스킹 공연을 하거나, 사람들을 모아 게임 이벤트를 벌여 수익을 올리는 일도 흔합니다. 메타버스를 또다른 ‘현실’로 받아들이는 세대는 현실의 건축가와 마찬가지로 가상 세계 건축가라는 직업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K/DA’와 같이 가상 캐릭터로 만들어진 아이돌 그룹의 팬 활동 역시 응원봉을 구매하고 생일 광고를 게재하는 등 실제 아이돌 그룹과 전혀 다를 바가 없습니다. 그만큼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지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서비스라면 무엇이든 경제적 가치가 있는 만큼, 메타버스를 둘러싼 새로운 ‘직업’들도 속속 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잠깐, 지난 주에는 무슨 일이 있었더라? HR 핫토픽 지난 호 보기 (클릭) 러닝채널 ON 5분 안에 역량 UP, 업무스킬 UP 해주는 마이크로 러닝 콘텐츠, 매주 동영상으로 만나보세요. ![]() 연말연시는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에게 감사를 전하기 딱 좋습니다. 여러분은 평소에 얼마나 감사의 마음을 가지고 생활하시나요?
생각보다 우리는 감사의 인사에 인색합니다.
하지만 감사한 마음, '고맙습니다.'라는 말 한 마디가 성공을 좌우하기도 한다는데요, Learning Crew가 감사함의 비밀에 대해서 소개해드립니다. 조직의 이슈를 해결하고 역량을 향상시키는 Performance Consulting Team, 러닝크루컨설팅과 더 친해지기 |
컨설턴트가 소개하는 최신 HR, 경영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