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 빌 게이츠, 래리 페이지, 마크 저커버그.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세계적으로 성공한 리더라는 점 외에도, 이들은 모두 내향적인 성향을 가진 리더들입니다. 종종 내향적이라는 말은 리더십과는 거리가 멀다고 여겨지지만, 이는 단지 편견에 불과합니다. 내향적인 성향은 결코 리더로서의 역량을 제한하지 않으며, 오히려 독창적이고 깊이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강점이 되기도 합니다.
갤럽(Gallup)은 훌륭한 리더가 갖추어야 할 자질로 동기 부여, 신뢰 구축, 그리고 개방적이고 투명한 관계를 꼽았습니다. 이러한 자질의 핵심은 경청, 공감, 그리고 높은 감정적 지능과 같은 요소들입니다. 흥미롭게도, 이 모든 요소는 내향적인 리더들이 자연스럽게 발휘하는 강점입니다.
내향적인 사람들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는 그들이 수줍음이 많고 사교성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내향적인 리더들은 심도 있는 사고와 섬세한 대인관계로 리더십에 필요한 중요한 자질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그들만의 독창적인 접근 방식으로 팀과 조직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 내향적인 리더들이 가진 7가지 핵심 강점을 살펴보며, 그들이 어떻게 조직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내년 대기업 임원 인사는 효율성을 강화하고 변화와 혁신을 이루기 위한 'SHIFT KEY' 전략을 중심으로 전개될 전망입니다. 이 전략은 ▲조직 슬림화(Slim), ▲고위층 교체(High-level Change), ▲국제 정세 대응(International-Issue), ▲여성 임원 증가(Female), ▲기술 인재 배치(Tech), ▲유연한 전략형 인재(Kick-turn), ▲ESG 경영 강화(ESG), ▲젊은 인재 발탁(Young)을 키워드로 정의됩니다. 특히 임원 자리와 승진 기회가 줄어드는 가운데 여성 임원의 비율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100대 기업 내 여성 임원 수는 최근 5년간 꾸준히 늘어나 내년에는 480~5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여성 임원이 전체 임원 중 차지하는 비율은 여전히 6%대에 머물러 유리천장을 완전히 깨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또한, MZ세대 인재들이 임원으로 발탁되는 사례가 늘어나며 세대교체의 흐름도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1975년 이후 출생 임원이 전체의 2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MZ세대 임원이 3%를 돌파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반도체 52시간제 예외 추진...효율 vs 과로 논쟁⏲️
반도체 업계가 연구개발 노동자를 주 52시간 노동시간 규제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구하며, 정부와 노동계 간의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러한 요구에 대해 반도체특별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국민의힘은 이를 당론으로 발의해 연내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특별법은 연구개발 분야에 한 해 노동시간 상한을 초과할 수 있는 별도의 기준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업계는 현재 절차가 지나치게 복잡하다며 법안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노동계는 과로를 조장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타 업종에서도 유사한 요구가 잇따를 가능성을 우려하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연장근로가 반드시 성과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고령화 시대, 일본과 싱가폴의 해법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고령자 고용 안정성을 위한 계속고용 제도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일본은 법정 정년을 60살로 유지하면서도 65살까지 고용을 의무화하고, 70살까지 고용 노력을 명시하는 제도를 운용 중입니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기업명을 공개하는 제재를 가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법정 정년을 63살로 설정하고, 재고용을 통해 68살까지 고용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재고용이 어려울 경우 다른 사용자에게 고용을 인계하거나 고용 지원금을 지급하도록 제도를 설계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정년과 재고용 한도를 각각 65살, 70살로 연장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에서도 해외 사례를 참고해 고령자 계속고용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충분한 재정적 지원과 직업훈련 시스템 구축으로 기업이 고령자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인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