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에서 팀장으로, 일반 직원에서 관리자가 되는 것은 경력에서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이 새로운 역할을 맡는 것은 흥미롭기도 하지만, 동시에 두려움을 느낄 만큼 어려운 일입니다. 더 이상 개인적인 성과만으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으며, 팀을 이끌어야 합니다. 또한 팀원들은 당신에게 의존하게 됩니다. 마치 수영을 모르는 채 깊은 수영장에 던져진 느낌일 받을 때도 있을 것입니다.
이제 막 관리자가 되었거나, 관리자를 목표로 하는 분. 그리고 신임 팀장에게 도움을 주고 싶은 분들을 위해, 팀장이 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팀장의 역할은 팀원과 어떻게 다른지, 관리자가 되었을 때 처음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실패하지 않는 팀장, 더 나아가 유능한 관리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알려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에서 만나보세요!
퇴직연금의 낮은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해 퇴직연금 제도를 ‘계약형’에서 '기금형'으로 개편해야한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의 지난 10년간 평균 수익률은 1.93%로, ‘기금형’ 제도로 운용 중인 호주(7.2%)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계약형’의 경우 개별 가입자가 금융기관과 직접 계약해 자신이 선택한 상품에 적립금을 투자해야 하며, 정보 부족으로 인해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투자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반면, '기금형'은 전문 운용조직이 퇴직연금을 대신 관리해 주며, 가입자 대신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이를 통해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Z세대, 의도적 언보싱 증가🙅
최근 Z세대 사이에서 ‘의도적 언보싱’ 현상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의도적 언보싱(Conscious unbossing)’이란 관리자로 승진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피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Z세대가 팀장 같은 관리직을 기피하는 이유는 직장 내 성공보다는 자유롭게 업무를 수행하며, 개인의 성장과 워라밸을 중시하는 성향이 손꼽힙니다. 더불어 관리자 역할에 따른 높은 책임과 스트레스에 비해 보상이 낮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기업이 이러한 현상에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주기적으로 운동 중🏃♀️
직장인들의 건강과 자기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운동 참여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직장인 1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즐기는 운동은 ‘헬스(30.9%)’로 나타났고, ‘걷기(21.6%)’와 ‘러닝(12.0%)’이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빈도는 일주일에 3~4회(50.5%) 운동하는 직장이 가장 많았고, 투자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이 45.2%로 가장 높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