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보장하는 법이 시행되었습니다. 이 법은 근무 시간 외에 직장으로부터의 연락에 응답하지 않아도 되는 권리를 보장하며, 이를 위반하는 고용주는 최대 8,500만원의 벌금이 받게 됩니다. 법은 대기업과 중견기업에 먼저 적용되며, 직원 15명 미만의 소기업은 내년부터 적용된다고 합니다. 국내에는 아직 이와 유사한 법은 없지만,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등의 노동법 규정에 따라,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업무시간 외에 과도한 연락이나 업무 지시를 자제하도록 권고하는 지침이 일부 기업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10명 중 8명은 AI 업무 활용 중🤖
Z세대 직장인들에게 생성형 AI는 이미 익숙한 업무 도구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삼성전자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Z세대 직장인의 80%가 업무 중 문제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AI를 찾는다고 합니다. 이 비율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구 국가들보다 20% 이상 높았습니다. 이들은 특히 AI를 문서 요약, 콘텐츠 생성, 자료 조사 등에서 주로 활용한다고 응답했습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러한 추세에 대해, AI를 업무에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흐름이나 AI의 오류에 대처하지 못하거나 사람과의 협업 능력이 위축되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진단했습니다.
내년도 육아휴직 급여, 월 250만원👶
2025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을 월 15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인상하고, 단기 육아휴직(2주) 사용을 연 2회까지 허용하는 방안이 확정됐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도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1~3개월 차에는 250만원, 4~6개월 차에는 200만원을 받은 뒤 이후에는 매달 160만원을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육아휴직 대체 인력을 채용하는 기업에 제공하는 지원금은 인당 80만원에서 120만원으로 인상되며, 동료의 육아휴직으로 인해 업무가 증가한 동료에게는 월 20만원의 업무부담 지원금을 지급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