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을 제치고, 전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올라선 엔비디아. 엔비디아 성장의 중심에는 젠슨 황 CEO가 있습니다. ‘젠슨열풍(Jensanity)’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젠슨 황 CEO의 존재감은 뜨겁습니다. 그런 젠슨 황 CEO가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열린 졸업식 연설에서 소개한, 시간관리 비법이 화재가 되고 있습니다.
곧 세계 10대 부호에 올라설 것으로 보이는 젠슨 황 CEO의 시간관리 비법은 무엇일까요? 러닝크루와 함께 살펴보시죠!
지난 국회에서 본회의 통과 이후, 대통령 거부권 행사로 입법되지 않았던 노란봉투법이 다시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노란봉투법"은 원청 기업이 하청 노동자들의 노동 조건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그 원청도 노동 협상에 참여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법안입니다. 노동계에서는 원청 기업이 하청 노동자들의 실질적인 근로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교섭에 참여하는 것이 공정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경제계에서는 노란봉투법으로 인해 기업 운영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노사 간 갈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한편 CJ대한통운과 전국택배노동조합, HD현대중공업과 금속노조가 이와 관련된 소송을 진행 중이며 대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평균 연봉, OECD 21위🌏
한국의 정규직 근로자 평균 연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국 중 21위를 기록했습니다. 구매력 평가(PPP) 기준 2023년 평균 연봉은 4만7715달러로, 이는 5년째 큰 변동 없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구매력 평가(PPP)란 각국의 물가 수준을 반영하여 실제 구매력을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단순 환율만으로 비교하는 것보다 생활비와 물가 수준을 고려한 실제 구매력을 보여줍니다. 1위, 2위, 3위는 룩셈부르크(8만5526달러), 아이슬란드(8만1378달러), 스위스(7만9204달러)였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평균 연봉 하락 이유로 팬데믹 이후 여성과 고령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활발해지며 저임금 일자리가 증가한 점을 들었습니다.
팀장에 대한 불만 1위는?😠
최근 직장인 628명을 대상으로 한 ‘팀장 리더십’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팀원이 팀장에게 만족하지 못하는 요인 1위는 ‘커뮤니케이션 능력(28.7%)’과 ‘리더십 및 통솔력(28.7%)’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의 95.9% 팀장 리더십이 기업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며, 팀장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9점(5점 만점)이었습니다. 한편 팀장의 53.7%는 역량 부족을 느껴 퇴사를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팀장으로서 가장 스트레스받는 순간은 ‘성과에 대한 부담감을 느낄 때(51.2%)’과 ‘팀워크에 문제가 있을 때(39.0%)’를 꼽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