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은 어떤 기술 트렌드가 비즈니스에서 주목받을까요? 우리는 새로운 트렌드가 내가 속한 기업의 비즈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기 위해, 트렌드를 항상 주시해야 합니다. 2024 트렌드를 이해한다면 비즈니스를 그 어느 때보다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생성형 AI부터 6G 네트워크, 양자컴퓨팅까지, 2024년에 주목받을 10가지 기술 & 비즈니스 트렌드와 각 분야의 선도기업은 어디인지 살펴봅시다.
세일즈포스에서‘직장 내 생성형 AI활용 전망과 위험’에 대한 연구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설문에 참여한 1만4000여 명의 직장인들 중 28%는 직장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 중 71%가 업무 생산성이 높아졌다고 응답했습니다. 생성형 AI 활용도가 높아지는 만큼 안정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설문 참여자 중 55%는 회사에서 승인되지 않은 기술을 활용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응답자 중 79%는 기업 내에 생성형 AI활용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방침이 부재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생성형 AI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승인된 프로그램만 사용 ▲기밀 데이터 사용금지 ▲식별 가능한 고객 데이터 사용 금지 등의 항목이 상위에 선정되었습니다. 생성형 AI의 업무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기업에서는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교육 제공을 통해 AI활용에 따른 위험 요소는 제거하고, 직원들의 커리어 개발과 비즈니스 생산성 향상을 위한 순기능을 높여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내 경력이 물경력은 아닐까…? 걱정 많은 직장인들🤦♂️
커리어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며,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지 우려하는 직장인들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잡코리아의‘직장인 커리어 관리 현황’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4%는 수시로 커리어를 체크하고 있으며 37.7%가 ‘현재 경력이 물경력은 아닐까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커리어 관리 방법으로는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일을 한다’가 40%로 가장 높았고, ‘정기적으로 업무 성과를 기록한다(33.6%)’, ‘매년 자기개발 목표를 세우고 확인한다(30.0%)’, ‘중장기적으로 커리어 목표를 세워 관리한다(29.4%)’가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내년 커리어 목표로는 ‘이직(48.5%)’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일찍 일어나면 만원 버스 피한다…7시 이전 출근 24.6%🚌
직장인 중 24.6%는 러시아워를 피하기 위해 7시 이전에 집을 나선다고 합니다. 통계청과 SK텔레콤이 직장인 712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평균 통근 시간은 72.6분이었으며, 수도권의 경우 83.2분에 달했습니다. 정부는 지난 2021년 ‘제2차 국가 기간 교통망 계획’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출퇴근 소요 시간을 30분 후반대로 줄이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쉽지 않아 보입니다. 장거리 통근은 건강에도 해롭습니다. 인하대병원 연구팀에 따르면 하루 출퇴근 시간이 60분 이상인 사람은 30분 미만인 사람에 비해 우울증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1.16배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김포골병라인’이라고 불리는 김포골드라인에서는 최근 승객들이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승객들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도심 교통망 개편과 더불어 과밀 개발을 위해 외곽으로 뻗어나갈 게 아니라, 고용 밀집 지역에 주거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